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 민생회복 지원금 완벽 가이드

by 무편집 에디터 2025. 7. 10.

https://01.info.essentialpart1.com/1220?gad_source=5&gad_campaignid=22736858590&gclid=EAIaIQobChMIvMLoxvixjgMVnVUPAh11ODRtEAEYASAAEgLU8_D_BwE 

 

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일 안내 – 01.info.essentialpart1.com

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일은 언제?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일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📌 민생회복지원금이란? 요즘 물가도 오르고, 생활비 부담도 커졌죠? 😥 이럴 때 정부나 지자체에서 제공하는

01.info.essentialpart1.com

🧾 1. 지급 개요

  • 1차 지급
    • 기간: 2025년 7월 21일(월) 오전 9시 ~ 9월 12일(금) 오후 6시
    • 기본 지급 금액: 국민 1인당 15만 원
    • 추가지원:
      • 차상위계층/한부모가족: 총 30만 원
      • 기초생활수급자: 총 40만 원
      • 비수도권 거주 +3만 원,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+5만 원
  • 2차 지급
    • 기간: 2025년 9월 22일(월) ~ 10월 31일(금) 
    • 대상: 소득 상위 10% 제외한 하위 90% 국민
    • 금액: 1인당 10만 원 추가 지급 

최대 수령 가능 금액 예시:

  • 기초수급자 + 농어촌 추가 거주: 1차 40 + 5 = 45만 원 + 2차 10만 원 = 총 55만 원 

📅 2. 신청 방법 및 일정

  • 신청 방식:
    • 온라인: 카드사 앱/홈페이지, 지역사랑상품권 앱, “국민비서 알림” 서비스, 정부24 등
    • 대한민국 대표 복지포털 '복지로' 
    • 오프라인: 읍·면·동 주민센터, 제휴 은행 창구 등 
  • 신청 첫 주 요일제 적용
    • 첫 주(7/21)에는 출생연도 끝자리 기준 5부제 운영
      • 예: 월요일 = 1·6, 화요일 = 2·7 등
    • 주말 및 두 번째 주부터는 누구나 신청 가능
  • 지급 즉시 사용 가능
    • 카드 충전은 신청 다음 날, 상품권은 즉시 또는 며칠 내 지급 
  • 미성년자, 해외 체류자 포함
    • 생년월일 기준으로 신청 가능(2006년 12월 이전 출생자 본인 신청), 미성년자는 세대주가 신청
    • 해외 체류 후 귀국 시에도 신청 대상 포함
 
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index.do

 

www.bokjiro.go.kr

메인 | 정부24

 

메인 | 정부24

정부24는 정부의 민원 서비스, 정부혜택(보조금24), 정책정보/기관정보 등을 한 곳에서 한 눈에 찾을 수 있고 각 기관의 주요 서비스를 신청·조회·발급할 수 있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 포털입니다

plus.gov.kr

 


🏪 3. 사용처 및 기한

  • 사용 기한: 2025년 11월 30일(일)까지
    • 기한 지나면 잔액 소멸 
  • 사용 가능 업종:
    • 주민등록 주소지 내 연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매장(전통시장, 동네마트, 음식점, 학원, 병원 등) 
    • 농촌 일부 하나로마트도 허용
  • 사용 불가 업종:
    • 대형마트, 백화점, 대형 외국계 매장(이케아, 애플 등), 창고형 마트(코스트코), 스타벅스 등 직영 프랜차이즈, 온라인 쇼핑몰, 배달 앱, 유흥·사행업소 등 
  • 주의사항:
    • 사용처에 ‘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가능’ 스티커 부착 예정
    • 지역 이동 후 이사 및 전입신고 시 사용지역 변경 가능 (단, 체크·신용카드 한정) 

💡 4. 꿀팁! 고향사랑기부제 연계

  • 고향사랑기부제 활용
    • 민생회복지원금으로 지역 상점 소비도 좋지만, 고향 또는 응원하고 싶은 지역에 기부하고 10만 원 전액 세액공제 + 답례품 혜택까지 얻을 수 있습니다 
  • 플랫폼 '위기브' 이용하기
    • 2,000여 개 답례품 선택 가능, 간편 결제 지원, 연말정산 자료 자동 등록
    • 네이버페이 이벤트: 10만 원 이상 기부 시 최대 5,000원 적립

✅ 5. 요약 표

구분1차 (7/21~9/12)2차 (9/22~10/31)총합 (최대, 기초수급자+농촌)
일반 국민 15만 원 (+3/5만 원 지자체 가산 가능) +10만 원 28~30만 원
차상위·한부모 30만 원 (+3/5만 원) +10만 원 43~45만 원
기초생활수급자 40만 원 (+3/5만 원) +10만 원 53~55만 원
소득 상위 10% 15만 원 15만 원
 

📌 꼭 기억하세요

  • 신청 필수! 자동 지급되지 않습니다.
  • 신청 첫 주 요일제 절대 확인
  • 사용 기한: 11월 30일까지 잔액 소멸
  • 사용처 제한 꼼꼼히 확인
  • 고향사랑기부제로 세액공제+답례품 추가 혜택

댓글